맨위로가기

유성 치경 설측 마찰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 치경 설측 마찰음(Voiced alveolar lateral fricative)은 자음의 한 종류로, 혀 옆으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잇몸 부위에서 마찰을 일으켜 소리 낸다. 국제 음성 기호(IPA)로는 ⟨ɮ⟩로 표기되며, 줄루어, 코사어, 몽골어 등 여러 언어에서 사용된다. 일부 언어에서는 치경음 또는 치-치경음으로 발음되며, 아랍어에서는 인두음화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과거에는 ⟨ꜧ⟩와 유사한 기호가 IPA 기호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ɮ⟩가 공식적으로 사용된다.

2. 특징


  • 기류는 폐장기류기구에서 나오는 호기를 사용한다.
  • 발성 시 성대가 진동하는 유성음이다.
  • 조음 위치는 혀끝과 잇몸 사이에서 조음되는 치경음이다.
  • 조음 방법은 다음과 같다.
  • * 구강 내 기류는 혀의 옆으로 통과하는 설측음이다.
  •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는 기류가 통과할 좁은 틈을 만들어 마찰을 일으키는 마찰음이다. 다만, 이 소리는 치찰음과 달리 혀에 홈을 파서 기류를 집중시키지 않으며, 그 결과 고주파수 소음이 나타나지 않는다.
  • *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 공기가 새는 것을 막는 구음이다.

3. 언어별 사용

유성 치경 설측 마찰음(IPA: ɮ)은 세계 여러 언어에서 찾아볼 수 있는 자음이다. 이 소리는 특정 어족이나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나타난다.

인두음화된 형태인 ɮˤ는 고전 아랍어의 'Ḍād' 발음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그러나 현대 표준 아랍어에서는 이 글자가 주로 인두음화된 유성 치경 파열음(dˤ) 또는 치-치경 파열음(d̪ˤ)으로 발음된다.

각 언어에서의 구체적인 사용 예시와 음성적 특징은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치경 또는 치-치경

언어구분단어IPA의미비고
아미스어강코 방언[ɮ̪͆]치아-치경음
아디게어къалэkbd[qaːɮa]'마을'/l/로 발음되기도 한다.
고전 아랍어الأَرضِ[lʔarɮˤi]'지구'
부라어/ɬ/ 및 /ʎ̝̊/와 대조된다.
카바르딘어блыkbd[bɮə]'7'/l/로 발음되기도 한다.
카바르딘어мылkbd[məɮ]
케트어олынket[ɔɮɨn]'코'/l/로 발음되기도 한다.
몰로코어zlanmlw[ɮàŋ]'시작하다'/ɬ/, /l/, /ʒ/와 대조된다.
몽골어монголmn[ˈmɔɴɢɞ̆ɮ]'몽골인'단어 끝이나 무성 자음 사이에서 /ɬ/로 무성음화된다.
몽골어долооmn[tɔɮɔː]
사사레세어al'dhu[ˈkaɮdu]'뜨거운'
테라어dleptittr[ɮè̞pti]'심기'/ɬ/ 및 /l/과 모두 대조된다.
줄루어ukudlazu[úɠù:ɮá]'먹다'/ɬ/ 및 /l/과 모두 대조된다. 비음 뒤에서는 [dɮ]로 실현된다. dl에서 이 소리가 난다.
줄루어dlalazu[ˈɮaːla]
코사어dl에서 이완음으로 나타난다.
은데벨레어
영어남아프리카 영어bandl'a[iˈbaːnɮa]'응구니 족장 또는 공동체의 모임'줄루어 차용어에서만 발견된다.



또한, 인두음화된 유성 치경 설측 마찰음 [ɮˤ]는 고전 아랍어의 Ḍād 발음으로 재구성되었다. 이 글자는 현재 현대 표준 아랍어에서 인두음화된 유성 설단 파열음(치경 [dˤ] 또는 치-치경 [d̪ˤ])으로 발음된다.

3. 2. 기타

'''유성 치경 비통 파열음'''은 자음 소리의 하나로, 공기가 폐쇄된 통로의 양 옆(측면)과 중앙으로 동시에 흘러나오면서 발음된다.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아랍어[1][2][3]리잘 알마ʽ아ضبع[ðˡˤabʕ]'하이에나'고전 아랍어 *ɮˁ 와 현대 표준 아랍어 [dˤ]에 해당한다.
메흐리어[4]ذوفر[ðˡˤoːfar]'땋은 머리'


4. 관련 문자

유성 치경 설측 마찰음을 기반으로 하는 몇몇 유니코드 문자가 있다.


  • U+1079E MODIFIER LETTER SMALL LEZH는 위첨자 국제 음성 기호 문자이다.[5]
  • U+1079F MODIFIER LETTER SMALL LEZH WITH RETROFLEX HOOK는 위첨자 국제 음성 기호 문자이다.[5]
  • U+1DF05 LATIN SMALL LETTER LEZH WITH RETROFLEX HOOK는 언어 장애를 위한 국제 음성 기호 확장 문자(extIPA)이다.[6][7]

5. 표기

유성 치경 설측 마찰음에 대한 이전 IPA 기호


1938년, 헹 ꜧ와 유사한 모양의 기호가 유성 치경 설측 마찰음의 공식 IPA 기호로 승인되어 ɮ를 대체했다. 그러나 동시에 두 기호의 중간 형태와 같은 절충안을 저자의 재량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고 제안되었다. 1949년 ''국제 음성 학회 원리''와 이후 IPA 차트에는 이 절충안이 포함되었고, 이는 1989년 킬 협약에서 ɮ로 다시 대체되었다.[8] 협회의 결정에도 불구하고, ɮ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문헌에서 발견된다.[9][10][11][12][13]

참조

[1] 서적 Phonetic transcription in theory and practice 2013
[2] 웹사이트 Lateral fricatives and lateral emphatics in southern Saudi Arabia and Mehri https://www.academia[...] 2011-01
[3] 간행물 Lateral reflexes of Proto-Semitic D and Dh in Al-Rubūʽah dialect, south-west Saudi Arabic: Electropalatographic and acoustic evidence https://www.academia[...] 2013-01
[4] 웹사이트 Lateral fricatives and lateral emphatics in southern Saudi Arabia and Mehri https://www.academia[...] 2011-01
[5] 웹사이트 L2/20-116R: Expansion of the extIPA and VoQS https://www.unicode.[...] 2020-07-11
[6] 웹사이트 L2/20-116R: Expansion of the extIPA and VoQS https://www.unicode.[...] 2020-07-11
[7] 웹사이트 L2/21-021: Reference doc numbers for L2/20-266R "Consolidated code chart of proposed phonetic characters" and IPA etc. code point and name changes https://www.unicode.[...] 2020-12-07
[8] 웹사이트 The symbol {{IPA|ɮ|cat=no}} http://www.phon.ucl.[...] Department of Phonetics and Linguistics, University College London 2006-11-03
[9] 간행물 A word list of Tera https://scholarworks[...] 1964
[10] 서적 Working Papers in Phonetics 11: Practical Phonetic Exercises https://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968
[11] 서적 Introduction to Phone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12] 서적 Preliminaries to Linguistic Phonetic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1
[13] 서적 Phonetics: The Science of Speech Production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and Company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